<재해 예방에 필요한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>
#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이란?
기업 스스로 유해.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제거.대체 및 통제방안을 마련.이행하며,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
# 핵심 포인트
1)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는 '유해.위험요인'을 찾아냅니다.
- 기업의 재해이력, 현장종사자의 의견 청취, 동종업계의 사고사례 및 전문가 진단 등을 기초로 유해.위험요인을 확인
2) 발굴된 유해.위험요인은 안전.보건조치를 확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조직.인력.예산을 투입하고 모니터링 체계를 갖춰야 함.
3) 기업.기관의 규모, 유해.위험요인, 인력이나 재정 등을 고려하여 업무특성과 기술, 재정 여건에 맞게 이행
@@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방법 @@ |
1. 안전.보건에 관한 목표와 경영방침을 정합니다. |
2. 안전.보건 업무를 총괄.관리하는 전담 조직을 구성합니다. |
3. 사업 또는 사업장의 유해.위험요인을 확인하고 개선합니다. |
4. 재해 예방에 필요한 안전보건 인력.시설.장비를 구비하고 유해.위험요인 개선에 필요한 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합니다. |
5.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업무수행을 지원합니다. |
6. 안전관리자, 보건관리자 등 전문인력을 배치합니다. |
7. 종사자의 의견을 청취하고 개선방안 등의 이행 여부를 점검합니다. |
8. 중대재해 발생 및 급박한 위험에 대비할 매뉴얼을 마련하고 반기 1회 이상 점검합니다. |
9. 도급, 용역, 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반기 1회 이상 점검합니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