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Study/license

안전보건경영시스템(ISO 45001, KOSHA-MS) 관련 심사 및 교육 개요

안전보건경영시스템(ISO 45001, KOSHA-MS) 관련 심사 및 교육 개요


안전보건경영시스템(OH&S MS,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)은 체계적인 안전보건 관리를 위해 인증 및 심사 절차를 요구합니다. 이에 따라 심사원 양성 교육, 인증 심사, 연장 심사, 실태 검사 등이 수행됩니다.

1. 심사원 양성 교육

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심사원이 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과정입니다.

① 심사원 양성 교육 개요
• 대상: ISO 45001 또는 KOSHA-MS 심사원이 되고자 하는 사람(기업 실무자, 컨설턴트 등)
• 목적: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심사원의 기본 역량을 갖추고 심사 수행 능력 배양
• 주관 기관:
• 국내: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(KOSHA), 한국인정지원센터(KAB), 한국표준협회(KSA), 한국생산성본부(KPC) 등
• 국제: IRCA(국제인증심사원등록기관), Exemplar Global 등

② 교육 과정 및 내용

2. 인증 심사 (초기 심사)

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한 기업이 공식적인 인증을 받기 위한 심사 절차입니다.

① 인증 심사 개요
• 대상: ISO 45001 또는 KOSHA-MS 인증을 받고자 하는 기업
• 주관 기관:
• 국제: BSI, TÜV SÜD, DNV, LRQA 등
• 국내: 한국표준협회(KSA), 한국생산성본부(KPC),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(KOSHA) 등
• 기간: 일반적으로 2단계 심사를 거쳐 1~3개월 소요

② 인증 심사 절차

3. 연장 심사 (갱신 심사)

기존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 3년마다 진행되는 갱신 심사입니다.

① 연장 심사 개요
• 인증 유효 기간이 종료되기 전 6개월 이내에 신청 필요
• 기존 인증 유지 여부를 평가하고,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검토
• 일반적으로 최초 인증 심사와 동일한 절차 수행
• 심사 결과가 적합하면 인증이 추가 3년 연장됨

② 연장 심사 주요 점검 사항

4. 실태 검사 (정기 심사 및 특별 점검)

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하거나, 특정한 사유 발생 시 진행하는 검사입니다.

① 실태 검사 개요
• 정기 실태 검사: 인증 후 **매년 정기 심사(사후 심사)**를 통해 시스템 유지 확인
• 특별 실태 검사: 중대재해 발생, 법규 위반, 민원 제기 등의 사유로 긴급 점검 진행

② 실태 검사 주요 내용

5. 결론

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려면 심사원 양성 교육을 통해 전문가를 배출하고, 체계적인 심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• 기업 입장: 인증을 받으면 산업재해 예방 및 법적 리스크 감소, 기업 신뢰도 향상
• 심사원 입장: 교육 이수 후 심사원 자격을 취득하면 공인된 심사 기관에서 활동 가능
• 정부 및 공공기관 입장: 실태 검사를 통해 사업장의 안전보건 수준을 지속적으로 관리

ISO 45001 및 KOSHA-MS와 같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단순한 인증을 넘어 조직의 안전 문화를 정착시키고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는 필수 경영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