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Study/license

ISO 45001이란?

ISO 45001: 국제 안전보건경영시스템(OH&S) 표준

ISO 45001은 국제표준화기구(ISO)에서 제정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(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, OH&S) 국제 표준으로, 산업재해 예방과 근로자의 안전 및 건강 보호를 목표로 합니다.

1. ISO 45001의 개요
• 제정 기관: 국제표준화기구(ISO)
• 제정 연도: 2018년 3월 12일
• 목적: 조직이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, 산업재해 및 직업병을 예방하도록 지원
• 대상: 제조업, 건설업, 서비스업 등 모든 산업 분야 및 조직

2. ISO 45001의 주요 특징
1. HLS(High-Level Structure) 기반
• ISO 9001(품질경영) 및 ISO 14001(환경경영)과 같은 다른 ISO 경영시스템과 통합 운영 가능
2. 리스크 기반 접근 방식
• 기존 OHSAS 18001보다 위험성 평가와 기회 발굴을 중점적으로 반영
3. 리더십 강화
• 최고 경영진의 책임과 리더십을 강조하여 안전보건을 전략적으로 관리
4. 근로자 참여 확대
• 근로자가 적극적으로 안전보건 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
5. 법규 및 이해관계자 요구사항 반영
• 각국의 안전보건 관련 법규 및 이해관계자의 기대 반영 가능

3. ISO 45001의 구조(PDCA 사이클 기반)

ISO 45001은 PDCA(Plan-Do-Check-Act) 사이클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안전보건 개선을 강조합니다.

① 기획(Plan)
• 안전보건 방침 및 목표 수립
• 조직 내 위험성 평가 및 기회 분석
• 법적 요구사항 식별 및 반영

② 실행(Do)
• 안전보건 교육 및 훈련 제공
• 위험요소 통제 및 개선 활동 수행
• 비상 대응 절차 마련

③ 점검(Check)
• 안전보건 성과 모니터링 및 측정
• 내부 감사 수행
• 법규 준수 여부 점검

④ 개선(Act)
• 시정 및 예방 조치 수행
• 경영 검토를 통한 지속적 개선

4. ISO 45001과 OHSAS 18001, KOSHA 18001 비교


5. ISO 45001 인증의 장점
•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한 근무 환경 조성
•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표준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
• 법규 준수 및 법적 리스크 감소
• 조직 내 안전보건 문화 정착 및 생산성 향상
• ISO 9001(품질) 및 ISO 14001(환경)과 통합 운영 가능

6. ISO 45001 인증 절차
1. 사전 준비: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및 문서화
2. 내부 감사: 내부 점검 및 미비점 개선
3. 인증 심사(1단계, 2단계): 인증기관 심사 수행
4. 인증 획득 및 사후 관리: 정기 심사 및 지속적 개선

7. ISO 45001의 향후 전망
• OHSAS 18001은 2021년 3월 12일부로 공식 폐지되었으며, 기존 인증 기업들은 ISO 45001로 전환
• 글로벌 기업 및 다국적 조직에서는 ISO 45001을 안전보건경영 필수 요건으로 요구하는 추세
• ESG(환경·사회·거버넌스) 경영이 강조되면서 안전보건이 지속가능경영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

결론

ISO 45001은 안전보건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,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 표준입니다. 특히, 기업이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경영 시스템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, KOSHA 18001 및 OHSAS 18001을 대체하는 최신 표준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습니다.